|
대통령실은 17일 이규연 홍보소통수석 명의의 언론 공지에서 "강선우 후보에 대해 자진사퇴로 대통령실 분위기가 기울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면서 "대통령실은 기존 입장에 변함없다"고 했다.
앞서 대통령실은 "청문회 과정을 지켜보고 판단하겠다는 입장에서 달라진 게 없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도 관련 물음에 "장관 인사 관련해 인사청문회가 진행 중에 있다"며 "다수의 언론에서 대통령실의 인사 관련 기류에 변화가 있다는 해석 기사가 나왔지만 기류 변화가 없다고 지금 공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강 대변인은 "청문회 과정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다"며 "다양한 보고도 받고 있지만 아직 특별한 기류 변화가 없다"고 재차 밝혔다.
대통령실은 일단 청문회가 끝나는 주말까지는 여론의 향배를 주시하겠다는 방침이다. 우상호 정무수석은 전날 유튜브에 출연해 "아직 청문회가 다 끝나지 않아 누구는 임명하고 누구는 임명하지 않겠다는 것을 검토하는 단계는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아직까지 (이 대통령의) 지시는 없었다. 보고만 받고 있다"며 "일단 청문회가 다 끝나고 대통령에게 대면 보고를 하면서 얘기를 들어봐야 한다"고 했다.
우 수석은 "일부 후보자의 경우에는 여론 동향이 굉장히 안 좋게 흘러가는 것도 대통령께 보고하고 있다"고 했다. 갑질 의혹에 더해 거짓 해명 논란까지 불거진 강 후보자와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을 받고 있는 이 후보자에 대한 시민사회와 여권 내부의 부정적 여론을 거론한 것으로 풀이된다.
진보 성향의 여성단체와 전교조에 이어 참여연대도 전날 두 후보자를 향해 자진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참여연대는 "기본적인 도덕성과 자질이 결여된 인물이라면 새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무너질 수밖에 없다"며 "스스로 사퇴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했다. 강 후보자에 대해선 "보좌관 갑질 논란은 국회의원이라는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공적 권한을 사적으로 남용한 것으로 중대한 결격사유"라고 지적했고, 이 후보자에 대해선 "제자 논문 표절 의혹에 따른 연구 윤리 문제가 드러났고, 초·중등교육법을 위반해 자녀를 조기유학 보낸 것도 치명적"이라고 했다.
여당 내에서도 두 후보자의 임명에 대한 신중론이 나오고 있다. 원조 친명(친이재명)계인 김영진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 '시선집중'에 나와 강 후보자의 거짓 해명 논란을 거론하며 "국민의 눈높이를 당사자와 또 인사권자가 깊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른 친명계 의원은 "갑질도 문제지만 강 후보자의 해명이 보도 이후 뒤집힌 것이 여론 악화에 결정타였다"며 "임명을 강행하면 국정 운영의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후보자 스스로 거취를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대통령실 관계자는 "각종 의혹이 장관직 수행을 하지 못할 정도의 사안인지 따져봐야 한다"며 "여러 가지 의견을 종합적으로 취합한 후 국민 눈높이에 맞는 판단과 결정을 하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