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손상환자 8만여명…자해·자살 비율 10년새 3.6배 늘어
검색 입력폼
전국

작년 손상환자 8만여명…자해·자살 비율 10년새 3.6배 늘어

질병청 2024 손상유형 및 원인 통계 공개
의료 공백에 환자 감소…입원·사망은 증가
고령화 영향…70대 환자 조사 이래 첫 1위
추락·낙상 다수…청소년은 자해·자살 심각

[나이스데이] 지난해 응급실을 찾은 손상환자가 8만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자해·자살 환자 비율은 10년새 3.6배나 증가했다.

질병관리청은 28일 2024년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 현황과 특성에 대한 조사결과를 담은 2024 손상유형 및 원인 통계를 발표했다.

23개 참여병원의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는 총 8만6633명, 입원환자 2만493명, 사망자 2229명이다.

손상환자는 2023년 20만3285건 대비 42.6% 수준으로 급감한 반면, 입원 분율과 사망 분율은 각각 7.6%포인트(p) 증가한 23.7%, 1.4%p 증가한 2.6%였다.

질병청은 "의료계 상황으로 인해 응급실 이용이 제한되면서 경증 환자들의 방문이 줄어든 대신 입원이나 사망 위험이 높은 중증 환자들이 주로 응급실을 이용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손상환자는 남자(56.5%)가 여자(43.5%)보다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70대 이상이 19.3%, 60대 13.4%, 50대 12.6%, 40대 9.5%, 30대 9.2%, 20대 11.1%, 10대 8.7%, 10세 미만 16.3% 등이다. 2006년 조사 이래 연령별로 70대 환자가 가장 많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손상 발생 기전으로는 추락·낙상이 40%로 가장 많았고 둔상 15.2%, 운수사고 15.1% 순이다. 특히 음주상태에서는 추락·낙상이 42.7%, 중독 19.8%, 둔상 16.4%, 질식 0.9% 순으로 발생 비율이 더 높았다.

자해·자살, 폭력·타살 등 의도적 손상 비율은 11.1%이며 조사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비음주 상태에서는 7.9%이지만 음주 상태에서는 38.6%에 달했다.

자해·자살 환자는 8%로 10년 전인 2014년 2.2%에 비해 3.6배 증가했다.같은 기간 연령별로 보면 10대는 9.2%에서 16.9%, 20대는 17.5%에서 22.5%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자해·자살 시도 이유로는 45.6%가 우울증과 같은 정신과적 문제였다. 자해·자살 시도는 84.1%가 집에서 이뤄졌고 시도 방법으로는 67.4%가 중독이었다.

질병청은 "청장년층에서 정신건강 문제가 심각한 수준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개인의 영역을 넘어서 사회적 차원의 자살예방 정책이 시급함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운수사고 중에서는 70세 이상 고령 비율이 2014년 8.3%에서 2024년 17.4%로 2.1배 증가한 반면 10대 이하는 21.7%에서 13.9%로 1.6배 감소했다. 이동수단별로는 전동 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를 포함한 '기타, 미상 육상 운송수단' 비율이 2014년 0.4%에서 2024년 5%로 12.5배 급증했다. 자전거 헬멧 착용률은 16.2%에 그쳤다.

한편 2024년부터 확대·추가된 소아청소년 손상 분석결과에 따르면 0~18세 손상환자는 2만963명이며 3~6세 24%, 1~2세 22.9% 등으로 다수였다.

연령별 손상 주요 특징을 보면 1세 미만은 추락, 1~2세는 차량, 3~6세는 건물 및 부속물, 7~12세는 자전거 사고, 13~18세는 오토바이 사고 등이 있었다. 특히 13~18세는 중독 손상 중 85.8%, 낙상 중 44.3%가 자해·자살 목적이었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청소년기 자해·자살 증가와 가정·생활공간에서의 손상위험 등 심각한 사회·의료적 과제를 담고 있다"며 "13~18세에서 나타난 자살 목적의 중독 손상은 청소년에 대한 정신건강 지원과 가정 내 약물 안전관리의 시급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를 통해 손상 발생의 원인과 위험요인을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생애주기별 맞춤형 손상예방 정책과 교육 자료를 개발·보급하겠다"고 말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