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총리는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정부는 출범 후 첫 명절을 맞이해 더욱 더 국민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총리와 관계부처 장관들은 이날 회의에서 추석 연휴 안전관리 대책을 논의한다.
김 총리는 "교통사고나 화재 등 위험이 큰 지역에서는 사전 안전 점검과 보완을 통해 위험을 최소화하는 한편, 연휴 전후 작업량 증가로 생기는 산업재해 예방, 선물·택배를 가장한 보이스피싱·스미싱 범죄 예방 등 국민 보호에도 빈틈이 없어야 하겠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예년보다 추석 연휴가 길기 때문에 사람과 차량의 이동으로 가축전염병이 확산되지 않을까 우려스럽다"며 "정부는 10월 1일부터 내년 2월 말까지 약 5개월 간 철새도래지 집중소독, 야생 멧돼지 차단 등 농장 방역에 집중하는 특별방역대책기간을 운영한다"고 덧붙였다.
'AI 시대 가명정보 제도·운영 혁신방안'도 이날 회의 안건에 올랐다.
김 총리는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 사이에서 그간 가명정보 제도가 과하게 소극적으로 운영됐고 실제 현장에서는 제대로 활용되지 못했다"며 "가명처리 전 과정을 지원하는 원스톱 체계를 통해 공공기관이 데이터를 적극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평균 310일 가량 걸리던 데이터 처리 소요기간을 100일 이내로 획기적으로 단축하고자 한다"며 "AI 시대의 큰 위협인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줄이고, 데이터 활용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열어가도록 과감히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지난 주 국무회의 의결로 확정된 123대 국정과제 공유·확산 방안도 이날 논의될 예정이다.
김 총리는 "온라인에 국정과제 소통광장을 개설하고 현장도 수시로 직접 찾아가겠다"며 "정부는 현장의 목소리를 최대한 존중하면서 국민보다 한 발 앞서 대비하고,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겠다"고 했다.
뉴시스
2025.10.27 (월) 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