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차례상 물가 완만한 하락세…쌀·축산물은 여전히 부담
검색 입력폼
경제

추석 차례상 물가 완만한 하락세…쌀·축산물은 여전히 부담

차례상 큰 비중 차지 과일 소매가격 하락세
공급량 회복된 채소류 가격도 내려 안정세
정부 "성수품 소매가격 작년보다 2% 낮아"
쌀·축산물 가격은 불안…할인지원 총력전

[나이스데이] 정부의 추석 민생 물가 부담 완화 노력에 차례상 물가가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쌀값이 여전히 고공행진 중인데다 축산물 물가도 잡히지 않고 있어 물가 자극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과일류, 채소류를 중심으로 한 추석 성수품 물가가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5일 기준 사과(홍로) 소매가격은 10개에 2만5606원으로 전년(2만5107원) 대비 2.0% 높지만 평년(2만8536원) 대비 10.3% 낮은 상황이다.

배(신고)는 10개에 2만9879원으로 전년(3만5520원)보다 15.9%, 평년(3만5847원)보다는 16.7% 낮다.

단감의 경우 10개에 2만957원으로 지난 15일(2만5171원)에 비해 열흘만에 16.7% 하락했다.

배추는 1포기에 6035원으로 전년(9581원) 대비 37.0%나 낮고 평년(8269원) 대비로도 27.0% 낮다. 무는 1개 1955원으로 전년(3954원)보다 50.6%, 평년(3346원)보다 41.6%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대파는 1㎏에 3148원으로 전년(3636원) 대비 13.4%, 평년(3419원) 대비 7.9% 낮다.

이처럼 대표적인 추석 성수품인 농산물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면서 올해 추석 차례상 물가가 소폭 내려갈 것으로 예상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추석 성수품 소매가격이 지난해 추석 성수기보다 2% 낮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한국물가협회와 한국물가정보 등 민간 기관도 올해 차례상 차림 비용이 지난해보다 1.1∼1.2% 낮을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차례상 비용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과일 가격이 작년에 이어 크게 하락했고 공급량이 회복된 채소류 가격 역시 내려 전반적인 차례상 물가를 끌어내릴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제수용으로 주로 쓰이는 큰 크기의 사과, 배 등의 생산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농식품부는 추석 성수기를 대비해 중간 크기와 작은 크기의 과일 실속 선물 세트를 지난해보다 5만개 늘어난 15만개 공급하고 제수용 사과·배 3개 들이 소포장 상품도 10만개를 공급해 소비자 부담을 낮출 예정이다.

다만 최근 치솟은 쌀값은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다.

쌀은 20㎏에 6만5590원으로 전년(5만967원) 대비 28.7%, 평년(5만3001원) 대비 23.8%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축산물 역시 불안한 흐름이다. 소는 사료 원가 상승, 돼지는 산불과 폭우 등 이상기후로 인한 폐사로 공급량이 줄어 전체적인 육류 가격이 소폭 상승했다.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가격정보에 따르면 소 안심(1+등급) 소매가격은 100g에 1만5013원으로 전년(1만3696원)보다 9.6%, 평년(1만4994원)보다 0.1% 높다.

돼지고기 삼겹살은 100g에 2796원으로 전년(2725원) 대비 2.6%, 평년(2733원) 대비로는 2.3%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추석 성수기를 대비해 안정적인 성수품 공급에 총력전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축산물은 대규모 할인지원에 나서며 물가 부담 낮추기에 나섰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안정적인 추석 성수품 공급을 위해 15개 성수품 공급량을 추석 3주 전부터 평시의 1.6배로 확대 공급하고 있다"며 "역대 최대 규모 농축산물 정부 할인을 위한 500억원 지원과 함께 생산자단체, 유통업체와 연계한 할인 행사로 추석 성수기 소비자 체감 가격 인하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