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장관은 이날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국감)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취임 후 첫 국감에서 ▲소상공인 회복과 성장 ▲스타트업 및 벤처 집중 지원 ▲중소기업의 혁신 동력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공정한 기업 생태계 구축을 뼈대로 한 중기부 운영 청사진을 제시했다.
중기부는 소상공인 회복을 돕고자 공과금, 통신비 등에 쓸 수 있는 경영안정바우처를 내년부터 지급한다. 부처 협업을 통해 사업진단-채무조정-폐업·재기 전 단계를 돕는 소상공인 회복전담지원체계도 마련된다. 또 범부처 합동으로 대규모 할인 행사를 추진하고 인공지능(AI) 활용 경영 지원, AI 민원상담도우미 등 AI를 이용한 소상공인 지원책을 강화한다.
한 장관은 창업·벤처 4대 강국 도약을 위한 스타트업·벤처 정책도 발표했다. 창업루키 프로젝트로 매년 1000명 이상의 청년 창업가를 발굴하고 벤처캐피탈(VC)·액셀러레이터(AC)들이 초기 육성을 돕는 벤처 스튜디오 방식을 도입할 예정이다. 유망 AI·딥테크 기업을 키우는 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NEXT UNICORN Project)가 개시되고 미국 실리콘밸리에 스타트업·벤처 캠퍼스도 들어설 전망이다.
한 장관은 "연기금과 퇴직연금을 벤처투자 시장으로 유인하고 내년도 모태펀드 출자예산을 2배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민간과 공공 자금이 모여드는 벤처투자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초기 스타트업을 돕는 원스톱 지원센터 설립도 약속했다.
중기부는 중소 제조업의 AI 대전환을 지원하는 스마트제조 3.0을 시행한다. 중소기업의 미래 먹거리를 찾는 연구개발(R&D) 예산은 역대 최대 규모인 2조2000억원을 편성했다. 이외에 수출바우처 확대와 K-뷰티 등 주력수출품목 육성에 힘쓸 계획이다.
지역경제를 살리고자 5극 3특 성장엔진 전략 등을 반영해 지역주력산업을 개편한다. 특히 AI 활용률이 낮은 지역 중소기업 현실을 고려해 지역 특성에 맞춘 지방자치단체별 AI 활용·확산 프로그램 도입을 도울 방침이다.
한 장관은 "오는 2030년까지 비수도권 14개 시도에 1개 이상 벤처모펀드를 조성하고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중심 인력 양성 등 지역에 투자·창업인력·인프라를 집중해 기술 창업을 촉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공정한 기업 생태계를 형성하고자 중소기업 기술 탈취 근절 방안 실시, 납품대금 연동제 확대 등이 이뤄진다.
한 장관은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며 소비자심리지수 상승 등 내수 회복 추세에도 불구하고 자영업자 부채, 한계기업 증가 등 위험 요인이 상존하고 있다"며 "이번 국감을 계기로 중기부가 추진하고자 하는 정책과제들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협조를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오는 23일 중기부 산하기관 국감, 29일 중기부 종합 감사가 실시될 예정이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