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준표 후보는 지난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한 대행이 사퇴하고 출마한다면 제가 후보가 되더라도 반이재명 빅텐트 단일화 협상의 길은 열어 놓겠다"고 밝혔다.
홍 후보는 "중범죄자가 우리나라를 통치하는 그런 불상사를 막는 길이 그것이라면 무엇이라도 하겠다"며 "그것이 혼미한 이 정국에서 제가 해야 하는 내 나라를 위한 마지막 소명이라면 흔쾌히 받아들인다"고 했다.
홍 후보 캠프 비서실장인 김대식 의원은 24일 오전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한 대행이 나온다고 하면 반이재명을 위해서 우리가 승리를 해야 되기 때문에 어떤 상황이든지 빅텐트를 구성해서 함께 가겠다는 것이고, 그래서 선수를 쳐놓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빅텐트라는 용어를 누가 먼저 썼나. 홍 후보가 제일 먼저 썼다. 그래서 빅텐트 안에 다 들어와라. 반이재명은 다 들어와라. 거기에 한 대행도 포함된다"며 "이런 자신감으로 보면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김문수 후보 측은 당초 홍 후보가 한 대행과 단일화에는 거리를 둬왔는데, 2차 경선이 시작되면서 입장을 바꾼 것이라고 말한다.
그간 김 후보는 보수 진영 빅텐트와 한 대행과의 단일화 가능성 등을 모두 열어두겠다는 입장을 유지해왔다. 실제로 당내 '한덕수 출마론'을 주도한 박수영 의원도 김 후보 캠프에 합류해 활동 중이다.
김 후보 캠프 전략기획본부장인 박민식 전 국가보훈부 장관은 이날 뉴시스와 통화에서 "유력 대선후보가 조변석개해 말을 바꾸면 되겠나. 진심이 담긴 게 아니라 정치적 레토릭에 불과하다"며 "구체성이 전혀 없고, 잠깐 눈속임을 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전 장관은 전날 홍 후보의 단일화 관련 게시물이 올라온 직후 페이스북에 입장을 내고 "자신의 정치적 유불리에 따라 빅텐트의 위치가 이리저리 옮겨 다닌다면 국민들은 또 다른 정치적 이합집산으로 볼 뿐 그 진정성을 인정해 주지 않는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탄핵 찬성파로 분류되는 안철수·한동훈 후보는 빅텐트의 필요성에는 원론적으로 공감하면서도 한 대행과의 단일화에 대해서는 온도 차이를 보인다.
안 후보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한 대행 본인의 출마는 책임을 저버리는 일이다. 부디 출마하지 말라"고 했다.
그러면서 "한 대행은 탄핵당한 윤석열 정부의 유일한 국무총리였다"며 "국정 실패, 계엄, 탄핵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한 대행의 출마는 국민의 상식과 바람에 반하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한 후보는 페이스북에서 "경선에서 압도적으로 승리한 다음 본선 승리를 위해 모든 사람들과 함께 할 것"이라며 "특히 한 대행과 저는 초유의 계엄 상황을 갈등을 최소화하면서 수습하기 위해 함께 머리를 맞댔다"고 했다.
이어 "대한민국의 미래를 지키고 꽃피우겠다는 생각이 완전히 같다"며 "이제 저는 우리 당의 치열한 경선에 집중하겠다"고 했다.
당내에서는 한 대행의 출마와 관련된 결단 시기가 임박했다고 보는 기류가 읽힌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뉴시스에 "한 대행이 결단을 해야 하는 상황이고,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며 "당 입장에서도 결단을 해야 향후 전략을 정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 대행의 의지에 달려있는 것"이라며 "빅텐트가 됐든, 당내 경선이 됐든 지도부가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