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노동자 노동조합, 이주노동자평등연대, 민주노총, 금속노조 등은 이날 오후 2시께 서울 종로구 보신각 일대에서 이주노동자에 대한 제도 개선을 촉구하는 '이주노동자 메이데이'를 열었다.
이날 행사는 이주노동자들이 미등록 체류, 출국 등에 내몰리고 있는 상황에서 방관하는 정부에게 위험의 이주화 중단, 산업안전 대책 마련 등을 촉구하기 위해 열렸다.
우다야 라이 이주노조 위원장은 발언문을 통해 "한국에는 여러 나라에서 정부가 데리고 온 많은 이주노동자들이 땀 흘리며 가장 힘든 일을 하지만 그 대가는 차별과 무권리 방치"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주노동자들은 사업주의 폭언을 듣고 폭행을 당해도 떠나지 못한다"며 "산재 사망사고는 멈추지 않고 힘든 일을 장시간 해도 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제 이주노동자를 향한 강제노동 차별 착취를 멈추고 자유로운 노동을 보장해야 한다"면서 "차별적인 제도인 고용허가제를 폐지하고 노동허가제를 도입하자"고 강조했다.
이어 마이크를 잡은 비샬 이주노조 네팔조합원은 "사장이 욕하고 소리 지르고 괴롭혀 사업장 변경을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그 후 사장은 일을 시키지 않고 월급도 주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이 사실을 경찰에게 얘기해도 듣지 않았고 노동부 고용센터도 사장한테 얘기하라고 했다"며 "한국에 있는 이주노동자들은 사장에게 모든 권한이 있는 고용허가제 때문에 많이 힘들어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 자리에서 민주노총은 대선이 치러진 후 들어설 새 정부를 겨냥해 '이주노동자 대선 요구안 선포문'을 발표했다.
선포문에는 ▲국제노동기구(ILO) 강제노동금지협약을 준수하고 모든 이주노동자의 사업장 변경의 자유 보장 ▲임금 체불 근절하고 퇴직금을 국내에서 지급하며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중단 ▲임시 가건물 형태의 기숙사 전면 금지 ▲이주노동자의 산업안전 보장 등 10가지 내용이 담겼다.
민주노총 측은 "피부색이 다르고 언어가 서툴다는 이유로 멸시받고, 못 사는 나라에서 왔으니 값싸게 부려도 된다는 인식이 만연한 사회"라며 "이주노동자도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서 기본권을 보장받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는 집회를 마친 후 보신각에서 시작해 을지로입구역, 명동을 거쳐 서울노동청으로 행진한 뒤 종료됐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