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는 먼저 고품격 예술을 즐길 수 있는 문화공간으로 전남도립미술관, 광양예술창고, 포스코 홍보관 및 미술관, 광양문화예술회관, 인서리공원 등을 추천했다.
더불어 치유의숲, 목재문화체험장, 산림박물관 등을 두루 갖춘 백운산자연휴양림의 웰니스 관광 프로그램도 함께 소개했다.
o 아이들과 손잡고 미술관 등 고품격 문화예술공간
전남도립미술관에서는 래리 피트먼의 ‘거울·은유’, 강종열 초대전 ‘동백, 시간의 얼굴’, 청년작가전 ‘사라진 문을 두드릴 때’, 기증전시실 ‘바람·빛·물결’ 등 스펙트럼 넓은 전시가 열리고 있다. ‘
2025 박물관·미술관 주간’, ‘5월! 전남 방문의 달’을 맞아 5월 한 달간 무료로 입장할 수 있으며, 황금연휴 기간 중 5일 6일은 정상 개관, 7일은 휴관한다.
광양예술창고는 전남도립미술관과 인접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오밀조밀한 전시 공간과 문화예술 프로그램, 편안하고 자유로운 휴식 공간을 갖추고 있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지난 4월 개관해 지역의 랜드마크로 부상한 포스코 홍보관은 사전 견학 신청을 통해 관람할 수 있다.
홍보관 내 포스코 미술관은 예약 없이 자유롭게 관람 가능하며, 개관을 기념해 ‘빛의 여정’을 주제로 한 소장품전을 진행 중이다.
전시는 내면의 빛, 자연의 빛 두 개의 세션으로 구성돼 있으며, 관람은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가능하다.
일요일과 공휴일에 휴관한다.
광양문화예술회관에서는 ‘털보 윤상이 사랑한 현대화가들’을 주제로, ‘윤상 수집 현대화가 작품전 기념 서화첩’에 참여한 화가 10인의 작품을 비교 전시 중이다.
이 전시는 6일까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무료로 운영되며, 황금연휴 기간에도 휴관 없이 개관한다.
인서리공원은 전시, 스테이, 카페, 아트샵 등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으로, MZ세대의 인기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월·화요일은 휴관하지만 어린이날인 5일은 정상 운영한다.
특히 옛 양곡창고를 개조한 전시공간 ‘반창고’에서는 구상화의 대가 김종학 화백, 행복을 그리는 에바 앨머슨, 이왈종, 유쾌한 갑빠오 작가의 오브제 등을 만날 수 있는 ‘유쾌한 봄’ 전시가 성황리에 열리고 있다.
광양와인동굴과 광양에코파크는 365일 운영되는 전천후 복합문화공간으로,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곳이다.
‘5월 전남 방문의 달’을 맞아 ‘입장권 1+1’ 이벤트도 진행되며, 참여를 위해서는 ‘전남관광’ 앱을 내려받아 ‘블루투어’ 탭에서 ‘광양시’를 선택하면 된다.
o 피톤치드 가득한 백운산자연휴양림에서 웰니스
백운산자연휴양림은 해발 1,222m 백운산 자락에 위치한 웰니스 관광지로, 치유의 숲, 목재문화체험장, 산림박물관, 황톳길, 세미나실, 숙박시설 등을 고루 갖추고 있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인 ‘치유의 숲’은 외부에서 즐기는 풍욕, 탁족과 내부에서 체험하는 아로마테라피, 명상요가, 족욕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오전 10시와 오후 2시 30분 하루 두 차례, 2시간씩 운영된다.
목재문화체험장은 나무의 소중한 가치를 재발견할 수 있는 공간으로, 동백공방, 매화공방, 백운공방 등 수준별 목공 체험장이 운영되며, 어린이를 위한 목재체험놀이터 ‘나무 상상 놀이터’도 마련돼 있다. 치유의 숲과 목재문화체험장은 광양시청 통합예약시스템을 통해 사전 예약해야 하며, 매주 월요일 휴관한다.
백운산산림박물관은 기후변화 시대, 사라져가는 숲의 가치를 인식하고 교육할 수 있는 공간이다.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이 가능하나, 종료 1시간 전까지 입장해야 한다. 황금연휴 기간엔 정상 개관하며, 6일은 휴관한다.
김미란 광양시 관광과장은 “신록이 짙어가는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백운산과 섬진강, 광양만을 바탕으로 광양예술창고와 전남도립미술관, 포스코홍보관 및 미술관, 인서리공원 등의 문화공간과 백운산자연휴양림, 광양와인동굴과 에코파크 등 도전과 모험, 힐링을 선사할 광양여행을 적극 추천한다”고 말했다.
손태성 기자 sts800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