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김 전 위원장 파견에 반대하는 내부 의견이 일부 있는 것은 사실이나 현재로선 방미 특사단 명단에 변동이 없다"고 밝혔다.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자신이 특사 명단서 배제됐다는 보도와 관련해 통화에서 "대미 특사로 미국을 방문해달라는 대통령실 요청을 받은 이후론 달리 연락 받은 게 없다"며 "미국 측에서 (특사 관련) 연락이 와야 (최종 확정)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전 위원장은 "대미 특사 파견이 무산된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앞서 이 대통령은 김 전 비대위원장과 더불어민주당 이언주·김우영 의원을 대미 특사단에 내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김 전 위원장이 과거 SNS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선동, 우민, 광인 정치의 극명한 사례"라고 비판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며 적절성 시비가 일었다. 지난 9일 본회의장에선 민주당의 한 의원이 이 대통령에게 김 전 위원장 특사 파견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을 텔레그램으로 보내는 장면이 포착되기도 했다.
대통령실과 정부는 이달 넷째 주에 대미 특사단을 보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다음달 1일 상호관세 발효일을 앞두고 대응에 나서는 셈이다. 방미길에 올랐던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면담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의 접견이 성사될지도 관심이 쏠린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특사단 명단은 확정되는 대로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14일 출국하는 EU 특사단은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을 단장으로 해서 전현희·손명수 민주당 의원 등으로 구성됐다. 15일에는 강금실 전 법무부 장관과 한병도·천준호 의원이 프랑스로 향한다.
16일엔 추미애 의원이 단장인 영국 특사단(최민희·박선원 의원)과, 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단장인 인도 특사단(송순호 최고위원·이개호 의원)이 출국한다.
대통령실은 이들 국가를 포함해 미국, 일본, 중국 등 14개국에 특사를 보낼 방침이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