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급·제적 의대생 조사 결과, 오늘 발표…최종 '복귀 규모' 주목
검색 입력폼
정부

유급·제적 의대생 조사 결과, 오늘 발표…최종 '복귀 규모' 주목

교육부, 9일 의대 유급·제적 명단 공개 예정
유급 변동 없어…최종 복귀율 30%대 그칠듯
의대협 "교육부 고발"·"자퇴불사" 목소리도
이주호 "유급·제적 철회 불가…학사유연화無"

[나이스데이] 40개 의과대학 유급·제적 현황 공개가 임박한 가운데 현재까지도 유급 대상 의대생들의 대규모 수업 참여 흐름은 감지되지 않고 있다. 제적자가 발생할 경우, 일부 학생들이 자퇴 카드를 꺼낼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9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교육부는 이날 오후 40개 의대 학생들의 유급·제적 현황을 공개할 예정이다. 교육부가 각 의대에 보낸 학사 운영 조사는 지난 7일 마감됐다. 교육부는 현재 막바지 정리 작업을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파악된 바로 유급 대상자 대다수는 수업에 참여 의사를 밝히지 않은 반면, '1개월 이상 무단 결석 시 제적' 학칙이 있는 학교의 학생들은 수업 참여의사를 밝혔다.

해당 규정이 있는 대학은 건양대·순천향대·을지대·인제대·차의과대로 총 1916명 가운데 대다수의 학생들이 돌아왔다. 2회 연속 학사 경고가 누적될 경우 제적되는 충남대 역시 의대생들이 학교로 돌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을지대 31명, 차의과대 30명, 인제대 10명은 끝내 복귀의사를 밝히지 않아 제적 명단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 17일 기준 의대생 복귀율은 26%였다. 추가 복귀 인원 1000여명을 반영해도 최종 복귀율은 35% 안팎에 머물 전망이다.

정부가 학사유연화가 없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고 있는 만큼 대규모 유급 시 의사 배출은 또다시 지연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2024·2025학번 학생들이다. 두 학번이 연속으로 예과 1학년 수업을 듣지 못한 상황에서 2026학번 신입생 입학이 입학할 경우 내년에는 세 개 학번이 동시에 수업을 들어야 한다.

일부 대학들은 이 같은 '트리플링'을 대비해 2026학번에 수강신청 우선권을 주는 등 학사 정상화 방안을 고려 중이다. 2024·2025학번의 피해가 우려되는 대목이다.

한편 대규모 유급이 코 앞에 닥치자 의대생들은 반발하고 나섰다. 일각에서는 의대생 대표들이 자퇴로 맞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전국 40개 의과대학 학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전날 성명서를 통해 "법과 원칙을 무시하고 자의적인 명령으로 학교와 학생들을 강압한 책임자가 누구인지 규명되길 바란다"며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과 교육부 고위 관계자들을 고발하겠다"고 목소리 높였다.

한 수도권 의대 자녀를 둔 학부모는 "유급은 이미 확정된 상황"이라며 "혹시 (제적 등) 안 좋은 일이 생길 경우 의대협 대표들이 먼저 자퇴한다는 얘기는 들었다"고 말했다.

이주호 권한대행은 "각 대학은 7일까지 유급과 제적 대상을 확정해 원칙대로 처리할 것"이라며 "확정된 유급 또는 제적은 철회되거나 취소되지 않으며 추가적인 학사유연화는 없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고 강조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