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현지시각) 유엔인구기금(UNFPA)과 여론조사기관 유거브(YouGov)가 공동 발표한 '2025년 세계 인구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독일·이탈리아 등 저출산 국가와 나이지리아 등 출산율이 높은 국가를 포함한 14개국의 성인 남녀 1만 4000명을 대상으로 출산 계획에 대한 온라인 설문 조사가 진행됐다.
조사 결과, 전반적인 출산율은 하락세임에도 불구하고 응답자 대다수는 자녀를 두 명 이상 원한다고 답했다. 그러나 이들 중 상당수는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해 이상적인 자녀 수를 실현하지 못했거나 앞으로도 그럴 수 없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출산 가능한 연령대(18~49세) 중 18%는 바라는 만큼 자녀를 갖지 못할 것이라 했고, 11%는 이상보다 적은 수의 자녀만 갖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 출산 연령을 지난 50세 이상 응답자 중에서도 31%가 결과적으로 원했던 자녀 수보다 적게 낳았다고 밝혔다.
출산을 가로막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경제적 여건 부족'이 지목됐다. 전체 응답자의 39%가 재정 문제를 주요한 제약으로 들었으며, 한국에서는 이 비율이 58%로 가장 높았다.
이에 대해 나탈리아 카넴 UNFPA 사무총장은 "문제는 출산 의지가 아니라, 출산을 선택할 수 있는 여건이 부족한 것"이라며 "유급 육아휴직, 저렴한 난·불임 치료, 배우자의 육아 참여 같은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