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한구 통상본부장, 일주일만에 다시 방미…"상호·품목별 관세 면제 추진"
검색 입력폼
탑뉴스

여한구 통상본부장, 일주일만에 다시 방미…"상호·품목별 관세 면제 추진"

"美 관세 경쟁국 대비 불리하지 않도록 할 것"
"농산물 시장 개방 민감성 고려해 대응 계획"

[나이스데이]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4일 "미국이 부과한 상호관세 및 품목관세 일체 면제를 추진하되 최소한 경쟁국에 비해 불리하지 않도록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여한구 통상본부장은 이날 오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정부는 국익 최우선 원칙을 바탕으로 상호호혜적 합의 도출을 목표로 실용주의적 협상을 진행하겠다"며 한미 관세 협상 추진 목표를 설명했다.

여 본부장은 먼저 "관세 비관세 조치 분야에서는 미국은 농산물, 자동차, 서비스 분야에서 시장 접근과 높은 수준의 규범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며 "정부는 농산물 분야의 민감성 등을 최대한 고려해 대응하되 이행 이슈 및 제도의 선진화 관련 사안은 전향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 분야에서 미국은 미국 업계의 시장 접근 개선과 비차별적인 대우 보장을 요청했다"며 "정부는 미 측의 요구 수준과 국내 정치적 안보적 민감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유연하게 대응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원산지와 경제안보 분야에 대해선 "미국은 역내산 원재료 및 부품 비중을 확대할 것을 요구했고 정부는 산업별로 우리 기업의 원재료 공급망 등 상황을 감안해 대응하겠다"며 "경제안보 분야에서 미국은 공급망 안정화와 우회 수출규제 등 조치 강화를 요청했고 정부는 미국과 공급망 안정성 강화 및 상호 호혜적 협조 방안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상업적 고려 부분과 관련해선 "미국은 우리 기업의 미국 내 투자 확대 및 미국산 에너지 구매 확대 등을 요청했다"며 "정부는 한미 간 상호 호혜적 협력 분야를 발굴하고 투자 여건 개선 등 우리 업계의 관심사항을 반영해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국회 보고 이후 저녁에 미국으로 출국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USTR) 등 미 측 고위급 관리와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라며 일주일만에 다시 미국 방문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러면서 "주요 이슈별 우리 측 제안 및 한미 상호 호혜적 산업협력 방안을 제시하고 협상 진행 경과에 따라서 필요시에 상호관세 유예 연장도 적극 검토하겠다"며 "향후에는 조속한 시일 내에 협상을 타결할 수 있도록 고위급 실무급 협상을 집중적으로 실시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