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민생 물가를 국정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는 방침 아래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겠다는 취지다.
12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간담회는 13일 서울 모처에서 비공개로 열린다.
한국식품산업협회, 한국외식산업협회,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와 소비자단체, 관련 전문가,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 등이 참석한다. 개별 식품기업은 참석하지 않는다.
간담회에 참석하는 한국식품산업협회는 입장을 정리해 정부 측에 전달할 계획이다.
협회 측은 최근 수년간 업계가 가격 인상을 최대한 자제해왔으며, 이번 인상은 환율 변동, 원자재 및 경영비 상승 등 복합적인 요인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였다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다.
한국식품산업협회 관계자는 "가격 인상은 경영 환경 악화에 따른 불가피한 결정이었음을 설명하고 앞으로도 정부와 소통해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협조하겠다는 골자로 입장을 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이 언급한 '라면값 2000원'과 관련해선 "이는 일부 프리미엄 제품의 사례이며 시중에 유통하는 일반 제품의 가격은 대부분 1000원 내외"라는 점도 필요 시 설명할 방침이다.
현재 농심 신라면(1봉 1000원) 등 주요 봉지라면의 가격은 개당 1000원대에 머물고 있지만 하림산업 더미식(The미식) 장인라면 매움주의(편의점 기준 개당 2900원) 등 일부 프리미엄 봉지라면 상품의 판매가는 2000원을 훌쩍 넘는 수준이다.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도 이번 회동을 새 정부와의 첫 소통 자리로 보고 입장을 전달할 계획이다.
협회 관계자는 "그간 정부 차원에서 연 3~4회 개최하던 물가 관련 간담회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물가 안정 정책에 협조할 것"이라며 "현장의 주요 애로사항 중 하나인 배달앱 수수료 문제 등도 논의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 외식업계 관계자는 "김 후보자가 정식 임명 전부터 업계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것은 고무적"이라며 " 가격 인상에 대한 현실적 배경과 업계 상황이 전달되기를 바란다"고 기대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