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갑자기 아플 땐 '아이안심톡'"…소아·응급 전문의 상담
검색 입력폼
정부

"아이 갑자기 아플 땐 '아이안심톡'"…소아·응급 전문의 상담

복지부, '아이안심톡·응급똑똑 시범 운영
24시간 소아·응급 전문의 등이 상담 제공
증상 정도에 따라 응급실·병의원 안내도

[나이스데이] 보건복지부는 오는 31일부터 의료인이 24시간 상담을 제공하는 소아전문상담센터 '아이안심톡' 시범 사업과 증상을 바탕으로 인근 응급실과 병·의원 등의 이용 정보를 제공하는 '응급똑똑' 앱 시범운영을 실시한다고 30일 밝혔다.

아이안심톡 시범사업은 12세 이하 소아의 갑작스러운 증상에 대해 소아·응급 전문의 등 전문 의료인이 24시간 상담을 제공한다. 특히 야간·휴일에 소아 환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필요한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아이안심톡에 접속하면 '응급똑똑' 앱에 기반한 증상 분류를 해야 한다. 증상 분류 결과 상담보다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119 신고나 의료기관 이용을 안내하고 상담으로 가능한 경우에는 1:1 게시판에 문의할 수 있다.

상담 의료진은 입력된 소아 환자의 현재 증상, 과거 병력을 바탕으로 가정에서 가능한 응급처치, 상비약 이용 안내, 추후 증상 변화에 따른 추가 조치 사항 등을 게시판 답글 또는 전화로 안내한다. 의료진이 답변을 남기는 즉시 보호자에게 문자 등으로 알림을 제공한다.

상담을 제공하는 의료진은 분당차병원, 인하대병원, 칠곡경북대병원 3개 기관의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소속으로 소아 환자에 대한 의학적 전문성이 있는 의사와 간호사로 구성했다.

소아전문상담센터 아이안심톡 시범사업은 2026년까지 시범으로 운영한 뒤 이용자·상담자 등의 의견을 종합하고 인공지능(AI) 등 발전된 기술을 반영해 2027년 이후 본사업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응급똑똑' 앱은 국민이 합리적이고 편리하게 응급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증상 정보를 바탕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앱이다. 앱에서 사용하는 증상 분류체계는 KTAS(한국형 응급환자 분류 도구)를 바탕으로 응급의학과 교수로 구성된 전문위원회의 검수를 받아 개발했다.

사용자가 입력한 증상 정보를 바탕으로 분류한 증상 정도에 따라 중증 환자는 응급실 방문을 안내하고 경증 환자는 가까운 병의원 우선 방문 안내나 자가 응급 처치 정보를 제공한다. 또 사용자 위치를 중심으로 병·의원, 달빛어린이병원, 응급실 등의 진료 과목, 진료 여부, 병상 정보 등 실시간 의료시설 정보도 지원한다.

'응급똑똑' 앱은 올해 말까지 시범 운영을 통해 운영 평가를 진행하고 기능을 추가 개선해 내년부터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다만 복지부는 '아이안심톡'과 '응급똑똑' 앱에서 안내하는 정보는 증상 변화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고 의료 전문가의 직접적인 진단 및 판단을 대체할 수 없는 참고용이라고 설명했다.

정통령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보호자들께서 어린 자녀가 아플 때 대처법을 몰라 당황하지 마시고 아이안심톡을 활용해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며 "응급똑똑 앱을 통해 국민께서 야간이나 휴일에서 주변에 문을 연 병·의원을 쉽게 확인하고 증상에 적합한 의료시설 이용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응급똑똑 앱은 구글 플레이스토어 및 애플 앱스토어에서 검색하면 설치·이용할 수 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