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국힘 계엄해제 표결 방해 의혹 "압수수색서 충분히 확인"…추경호 소환 임박
검색 입력폼
사회

특검, 국힘 계엄해제 표결 방해 의혹 "압수수색서 충분히 확인"…추경호 소환 임박

의총 장소 수차례 변경…계엄 사전 인지 의혹도
'표결 불참' 원대실 머무른 의원들도 조사 대상

[나이스데이] 12·3 비상계엄 관련 국회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을 수사 중인 내란특검이 국민의힘 원내대표실과 행정국 등 압수수색 집행 절차를 완료한 가운데, 조만간 의혹의 '핵심'인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소환할 전망이다.

6일 법조계에 따르면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은 지난 2일부터 사흘간 추 전 원내대표, 계엄날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통화한 조지연 의원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추 전 원내대표 압수수색 영장에는 내란중요임무종사,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 2개 혐의가 적시됐다.

다만 국민의힘 원내대표실, 원내행정국에 대해서는 국민의힘 측의 거센 반발로 3일간 대치하다 지난 4일 양 측 협의를 거쳐 임의제출 형식으로 영장을 집행했다.

특검은 압수물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는 범위 내에서 확인이 이뤄졌고, 진상을 밝히는 데 사용하기에 큰 무리가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압수물 분석이 끝나는 대로 추 전 원내대표를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특검은 지난해 12월 4일 계엄 해제 결의안 표결 당시 추 전 원내대표 등 국민의힘 지도부가 의원총회 장소를 여러 차례 변경함으로써 고의로 표결을 방해했는지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다.

추 전 원내대표는 계엄 선포 당일인 지난해 12월 3일 오후 11시12분께 국회로 이동 중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7분 가량 통화한 의혹도 있다.

특검은 계엄에 대한 논의가 지난해 3월부터 이뤄졌다고 보고 추 전 원내대표가 사전에 계엄 선포를 인지했을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실제로 압수수색 영장엔 추 전 원내대표가 선출된 지난해 5월 9일부터 영장 집행일인 전날까지 압수 대상 기간이 적시됐다.

추 전 원내대표는 본인을 포함한 국민의힘 의원 모두 계엄을 사전에 몰랐단 입장이다.

그는 지난 4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난해 3월은 총선을 한 달여 앞두고 지역구인 대구 달성군을 새벽부터 밤까지 구석구석을 누비던 그런 시점이었다"며 "(계엄 다음날) 당원 수천 명이 모이는 규탄대회를 하기로 결정을 했는데, 어떻게 계엄을 사전에 인지를 했겠느냐"라고 강조했다.

의원총회 장소를 수차례 바꿔서 계엄 해제 표결을 방해했단 의혹에 대해서도 국회 출입 통제 때문에 불가피했다고 해명했다.

특검은 추 전 원내대표 말고도 계엄 해제 표결에 불참하고 원내대표실에 머물렀던 국민의힘 의원들을 주요 참고인으로 보고 조만간 소환할 계획이다.

당시 원내대표실에는 추경호 의원을 비롯해 김희정·송언석·임이자·정희용·김대식·신동욱·조지연 의원 등 8명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중 일부는 고발된 것으로 전해졌다.

박지영 특검보는 지난 5일 정례브리핑에서 "주요 참고인들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소환 요구 하려고 한다"며 "추경호 의원도 특검이 소환할 경우 적극 소명하겠다고 밝힌 만큼 다른 의원들도 적극적으로 진술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특검은 계엄 해제 의결에 앞서 '본회의장으로 모여 달라'고 공지했던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의 진술도 의혹 해소에 도움이 될 거라고 보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통화한 나경원 의원도 필요하다면 소환하겠단 입장이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