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사태 대비' 국정자원 공주센터, 18년째 개소 못하고 있어
검색 입력폼
정부

'비상사태 대비' 국정자원 공주센터, 18년째 개소 못하고 있어

예정처 '2024 회계연도 결산보고서' 지적

[나이스데이]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광주 센터가 마비되는 비상사태에서도 행정 업무가 차질을 빚지 않도록 공주센터 구축을 추진해왔지만 18년째 문을 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한 '행정안전위원회 2024회계연도 결산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국정자원 공주센터의 신축 사업은 지연되고 있다.

현재 국정자원은 대전, 광주, 대구, 공주 등 4개 센터로 구축돼있다.

이 가운데 공주센터는 화생방 대응, 내진 설계 등 특수시설을 갖춘 곳으로, 전쟁·재난·재해 등 비상 사태로 대전·광주센터가 동시에 마비되더라도 행정업무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중요 전산 자원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구축됐다.

공주센터는 2008년 정보보호 중기종합계획에 따라 추진돼, 당초 2012년까지 구축을 마치고 운영을 시작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입찰방식 변경 등으로 2019년에서야 착공됐고 이후에도 공사비 증액,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감리비 부족으로 공사가 중단되는 우여곡절을 겪으며 건물은 2023년 5월에서야 완공됐다.

이에 따라 센터 내부의 전산환경 구축과 이전은 같은 해 4월부터 추진됐고, 지난해에는 연내 재해복구시스템 이전까지 완료해 개청하기로 돼있었다.

하지만 2023년 11월 발생한 전산망 장애 사태가 종합대책에 반영되면서 사업이 지연됐고, 지난해 11월에서야 사업 수행을 위한 용역계약이 체결됐다.

이처럼 사업이 지연된 여파로 전체 예산 251억5000만원 중 189억8200만원만 집행돼 집행률은 75.5%에 그쳤다.

예정처는 "사실상 전산환경 구축 및 시스템 이전 비용에 소요되는 용역비의 80%를 선금으로 지급했기 때문"이라며 "지난해 말 기준 공정률은 3.8%에 불과하고 올해 5월 말 현재 66.9%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행안부는 행정전산망 장애 이후 공주센터에 '액티브-액티브 DR(Disaster Recovery)'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어 계획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지연이 있었다는 입장이다.

액티브-액티브 DR이란 한 쪽에서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쪽에서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동시에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운영되는 구조다.

평소에는 백업만 하다가 장애가 생기면 복구를 시작하는 '패시브(수동) 백업' 방식이 아니라, 두 센터가 동시에 가동되는 '액티브(능동) 이중화'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공주센터 개청이 지지부진하게 이뤄지면서 이번 국정자원 화재로 인한 피해도 확대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예정처는 "행안부는 국정자원 공주센터 전산환경 구축 및 재해복구시스템 이전 작업을 적기에 완료해 빠른 시일 내에 동 센터가 국가정보자원 백업센터로서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