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N수생 사교육비 조사 모델 개발 용역'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된 N수생 중 가장 다수인 가구 소득 집단은 월평균 800만원 이상인 집단이었다. 이는 17개 일반대의 2024학년도 신입생 1851명을 조사한 결과다.
월평균 가구 소득이 800만원 이상인 집단은 23.4%였고, 월평균 가구 소득이 500만원 이상 600만원 미만인 N수생 비율은 8.6%로 그 뒤를 이었다.
연구자는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명목)이 364만원인 점을 고려하면 N수를 선택하는 학생들의 가구소득이 상당히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N수생의 사교육 비용 부담 비중을 살펴보면 '보호자가 사교육비의 90% 이상을 부담했다'는 응답은 74.6%에 달했다. 반면 본인이 부담했다는 응답자의 경우 '10% 미만으로 부담했다'는 의견이 78.5%였다. 이는 보호자의 경제력이 N수생의 사교육 여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N수생의 사교육 비용에 대한 부담 인식을 살펴보면 약 46%가 사교육 부담이 큰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부담이 큰 편이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32.3%였고, '부담이 매우 컸다'고 답한 비율은 13.7%였다. '보통이었다'고 답한 비율은 32.9%로 가장 많았다.
N수생들이 가장 많이 경험한 사교육 유형은 인터넷 강의인 것으로 파악됐다. EBS를 제외한 인터넷 강의를 이용한 N수생은 70.5%였고, 대입 종합반 학원은 35.6%, 단과 학원은 34.1%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N수 끝에 지난해 대학에 입학했지만, 희망했던 대학과 전공에 진학하지 못했다는 학생의 비율이 높았다. 희망 대학에 입학하지 못했다는 응답자는 68.1%, 희망했던 전공이 아니라는 학생은 47.9%였다.
지난해 입학한 N수생의 23.4%는 2025학년도 대입을 준비하고 있다. 이들 중 68.8%는 정시전형을, 21.8%는 수시전형을 준비한다고 응답했다.
김 의원은 "N수생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지만 그 현황이나 사교육 등 실태 파악은 사실상 부재하다"며 "조사 대상과 방법부터 난관이겠지만 N수생 사교육비의 유형 및 규모, 정부 교육정책의 영향력, N수생 증가를 어떻게 봐야 할지 등을 살펴보기 위해 꾸준히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