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9일 경북 경주에 마련된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국제미디어센터에서 브리핑을 갖고 "대한민국 정부는 29일 미국과 관세 협상 세부 내용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품목관세 중 의약품·목재품은 최혜국 대우를, 항공기 부품·제네릭 의약품(복제약)·미국 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천연자원 등에 대해선 무관세를 적용하기로 했다.
의약품 최혜국 대우 관세율은 15%다.
그동안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의약품에 100%, 200%의 높은 관세를 매기겠다고 언급해온 만큼, 제약바이오업계는 의약품 관세 관련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관계자는 "미국과의 관세협상에서 의약품에 대해 최혜국 대우로 15% 관세를 적용하기로 한 점을 긍정적이고 다행스러운 결과로 평가한다"며 "당초 거론됐던 100% 관세 우려에서 벗어나 부담이 크게 완화된 셈"이라고 말했다.
이어 "품목별로는 제네릭 의약품은 무관세가 유지되나, 바이오시밀러에 대해선 언급이 없어 향후 추이를 면밀히 주시 중"이라며 "미국 시장에 진출 중인 대부분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은 미국 내 위탁생산(CMO) 시설 확보 등을 통해 관세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대비가 돼있어 충격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셀트리온은 일라이 릴리의 미국 현지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 인수 계약을 체결하며 관세 리스크 해소에 나선 바 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이번 협상은 관세 대폭 인상이라는 불확실성이 제거됐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고, 미국 내 의약품 가격 인하 및 유통구조 개선 정책과 맞물려 바이오시밀러 등 국내 의약품의 미국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또 한국이 글로벌 수준의 제제기술과 제조역량을 갖추고 있는 만큼 미국 의약품 공급망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신뢰받는 파트너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고 말했다.
한국바이오협회 오기환 바이오경제연구센터장은 "원래 무관세였던 것이 15%로 오른 셈이지만 , 최소한 유럽이나 일본 수준으로 결정된 것 같아 다행"이라며 "다만, 현재는 국가별 무역협상이 이뤄진 것으로, 세부 내용은 의약품에 대한 품목관세가 발표돼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K바이오팜 관계자 역시 "관세 리스크는 완화된 것으로 보이지만, 세부 내용이 나와야 그에 맞는 전략을 잘 수 있을 것"이라며 "캐나다, 미국 생산은 계속 유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뉴시스
2025.11.01 (토) 22: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