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정상 '경주선언' 채택…李 "한반도 평화 대승적·선제적 조치 지속"
검색 입력폼
탑뉴스

APEC 정상 '경주선언' 채택…李 "한반도 평화 대승적·선제적 조치 지속"

李 "평화 뒷받침 돼야 모두의 번영 가능…한반도 평화 필수조건"
시 주석 "아태 공동체 만드는 것이야말로 역내 번영 확실한 길"
경주선언 막판 합의…무역·투자, 디지털·혁신, 포용적 성장 등 포괄
'AI 이니셔티브', '인구 대응 공동 프레임워크' 채택도

[나이스데이] 이재명 대통령은 1일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공식 일정을 마무리하며 한반도 평화에 대한 의지를 강조하고, 아태 지역 지도자들의 지지를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APEC 의장직을 차기 의장국인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에게 인계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 의장직 인계식에서 시 주석에게 의장직을 전달한 뒤 폐회 선언에 앞서 "대한민국 정부는 남북간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선제적으로 취해왔고, 앞으로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승적이고 더 적극적인 선제적 조치를 지속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야말로 아태 지역의 번영을 위한 필수조건"이라며 "대한민국은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의 원칙 아래 평화 공존과 공동성장의 한반도 새 시대를 열어가고자 한다. 한반도 평화 공존은 동북아 평화를 넘어 아태 지역 전체의 협력과 상생을 통한 공동 번영의 길로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APEC 여러분의 지지와 협력이 동반될 때 한반도 평화 공존의 길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평화로운 우리의 내일, 지속가능한 번영의 미래를 위해 아태 지역 경제 지도자 여러분의 지지를 당부드린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의장직을 넘기면서 "한국은 2025년 APEC의 성취를 바탕으로 2026년 APEC의 성공을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했다.


시 주석은 "경제 세계화가 후퇴하고 있다. 아시아태평양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야말로 장기적인 역내 발전과 번영을 만드는 가장 확실한 길"이라며 "2026년 APEC 의장국으로 중국은 모든 당사자들을 하나되게 해 아태 지역 공동체의 성장과 번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모든 당사자와 협력하며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협력을 위해 노력할 것이고 아태 지역 경제 협력체의 디지털 변혁과 AI 등을 위한 협력을 추진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회복력 있고 활력이 넘치는 아태 지역의 경제발전을 도모하고, 이 지역의 모든 시민들에게 혜택이 고루 돌아갈 수 있게 할 것"이라고 했다.

2026년 APEC 정상회의는 내년 11월 중국 선전에서 열린다. 시 주석은 "이 지역의 발전은 중국 국민들에 의해 만들어진 경제적 기적의 장소로, 중국의 지속적인 개방 정책을 보여주는 장소"라며 "이곳에서 아태 지역의 발전을 위한 길을 열고, 보다 밝은 미래를 열어가길 기대한다"고 했다.

시 주석은 전날 APEC 회원국 정상 환영만찬을 언급하며 "어제 저녁 나비가 날아다녔다. 너무나도 아름다운 만찬 장소였다"고 했다. 이어 "이 대통령이 제게 말씀하시길 내년에 나비를 이렇게 아름답게 날릴 것이냐 질문했고, 저는 '여기 있는 아름다운 나비가 선전까지 날아올라 노래까지 했으면 좋겠다'고 말씀드렸다"고 전했다.


APEC 21개 회원국은 이날 'APEC 정상 경주선언'을 비롯해 'APEC AI 이니셔티브', 'APEC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공동 프레임워크' 등 문서 3건을 채택했다.

경주선언은 APEC 3대 중점 과제인 '연결·혁신·번영'을 기반으로 무역·투자, 디지털 전환, 포용적 성장 등 핵심 의제를 포괄하고, AI 협력과 인구구조 변화 대응에 대한 회원국들의 공동 인식을 반영했다.

AI 이니셔티브는 모든 회원국이 AI 전환에 참여하고 혜택을 공유할 수 있도록 AI 혁신 촉진, 역량 강화, 민간 AI 인프라 투자를 포함한 협력 방향을 제시했다. APEC 최초의 명문화된 AI 공동 비전으로, 미국과 중국이 함께 참여한 첫 정상급 AI 합의문이다.

'APEC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공동 프레임워크'는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가 역내 공통의 도전 과제라는 인식에 따라 마련됐다. ▲회복력 있는 사회시스템 구축 ▲인적자원 개발의 현대화 ▲기술 기반 보건·돌봄 서비스 강화 ▲모두를 위한 경제 역량 제고 ▲역내 대화·협력 촉진 등 5대 중점 분야별 정책 방향과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