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경주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폐막 후 국제미디어센터에서 열린 내외신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북측이 여러 계기에 적대적 표현을 사용하는 것도 '끝이다, 안 된다'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변화의 과정에서 나올 수밖에 없는 하나의 표현"이라며 "과거보다는 표현의 정도가 많이 완화된 것 같다"고 했다.
이어 "상황을 만들고 대화를 요청하고 협력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가야 하는데, 대한민국 정부 혼자 노력만으로는 어렵다"며 "한반도는 여전히 휴전 중이고, 이 휴전 협정의 당사자는 대한민국이 아니라 미국이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북한은 '대한민국이 아니라 미국과 협의해야 한다, 미국으로부터 체제 안전을 보장받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실제 그렇게 행동한다"며 "중국과 러시아의 역할도 중요하겠지만 가장 중요한 건 미국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의 역할을 인정하고, 북미가 대화해서 관계를 개선하면 남북 관계도 개선할 길이 열린다"며 "남북 간 직접 대화를 위한 노력도 하겠지만,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스스로 하고자 하는 바대로 한반도에서 평화를 만드는 '피스메이커'로서 역할을 잘 하도록 하는 게 대한민국의 안보와 평화를 확보하는 길"이라고 했다.
한반도 평화 정착 방안을 두고는 "평화와 안정은 강력한 억지력도 전제로서 필요하지만, 최종 단계에서는 언제나 대화와 타협, 공존과 공영의 의지가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햇볕 정책'을 언급하며 "평화란 무력으로 억압한 상태나 무력을 통해 전쟁에서 이기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며 "대량 파괴와 살상 위에 이긴들 무슨 소용이 있겠나. 싸워서 이기는 게 중책이라면 싸울 필요가 없게 만드는 평화를 만드는 게 가장 확고한 평화이고 안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비록 북측이 대한민국 정부에 대해 의심하고, 화나고, 적대적으로 행동하고 있지만 우리는 이를 실제로 실천하려 한다"며 "이러한 의심과 대결적 상황 판단을 바꾸러면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 어떻게 갑자기 한번에 바뀌겠나"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선제적으로 북측이 안심하고 남측을 조금이라도 믿을 수 있게 하기 위한, 평화를 위한 선제적 조치들을 이것저것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하고 있다. 앞으로도 그런 노력은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뉴시스
2025.11.02 (일) 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