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행안부는 제21대 대통령 당선일에 맞춰 취임식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통상 대통령이 당선되면 정권 인수를 위한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꾸려지고, 인수위 내 '취임 준비' 조직이 대통령 취임식을 도맡아 준비한다.
국가 주요 행사와 의전을 담당하는 행안부는 인수위에 예산 등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취임식 준비를 돕는다.
취임식은 새 대통령의 국정 철학과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인 만큼, 인수위 내 취임 준비 조직은 행사의 기본 구성부터 대통령이 낭독할 취임사, 새 정부 슬로건,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까지 공을 들여 준비한다.
하지만 이번 대선의 경우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따라 치러져 새 대통령은 인수위 없이 바로 임기를 시작해야 하고, 취임식을 준비할 시간적 여유도 없다.
지난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문재인 전 대통령이 2017년 5월 9일 당선됐을 때에도 하루 뒤인 5월 10일 바로 취임식을 열었다.
역대 대통령 취임식이 국회의사당 앞 광장에서 치러졌던 것과 달리 문 전 대통령 취임식은 국회의사당 로텐더홀에서 열렸고, 참석 인원도 300여명으로 역대 가장 작은 규모였다.
취임식 진행 시간도 25분 가량으로 다른 취임식들과 비교해 짧았다. 기존 취임식에서 의례적으로 진행되던 군악의장대의 예포 발사, 보신각 타종 등도 생략됐다.
윤 전 대통령 취임식의 경우 국회의사당 앞 마당에서 열려 4만명이 넘는 인원이 참석했다. 오전 11시에 시작된 본행사는 선서, 취임사 낭독 후 오후 12시께 마무리됐다. 식전 행사까지 포함하면 전체 진행 시간은 이보다 더 길었다.
이번 대통령 취임식도 문 전 대통령 때와 비슷하게 국회 본관 등에서 약식으로 간소하게 치러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60일'이란 촉박한 시간 안에 대규모 인원을 초청하기 어렵고, 선거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취임식을 준비해야 하는 상황에서 대통령의 국정 방향을 담은 각종 행사와 공연 등을 준비하는 것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만 취임식은 새 대통령 당선자의 의중이 최우선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지금 당장 예단하기는 어렵다.
새 대통령이 전임 대통령 궐위로 당선된 상황을 고려해 취임식을 생략하고 바로 집무를 시작할 수도 있고, 선서만 우선 진행한 뒤 취임식은 며칠 후에 별도로 개최할 가능성도 있다.
문 전 대통령 당선 때에도 행안부는 취임식 관련 여러 시나리오를 준비해놓고 대선 결과가 확정된 뒤 당선인 측과 구체적인 취임식 형태 등을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행안부도 문 전 대통령 때 사례를 준용해 취임식을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취임식 준비 기간이 짧다 보니 선례에 따라서 취임식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