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대책 후 고가·대형 아파트 위축…강남 중위 거래가격 3억원↓
검색 입력폼
경제

6·27대책 후 고가·대형 아파트 위축…강남 중위 거래가격 3억원↓

수도권 중위가격 1.6억원, 면적대 84→75㎡ 감소

[나이스데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6·27대책이 시행된 뒤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 뿐 아니라 거래 가격대와 면적이 모두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 부담이 커지자 고가·대형평형 거래가 위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21일 직방이 지난달 10일부터 이달 15일까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해 대책 발표 전후의 흐름을 비교한 결과, 대책 발표 전(6월10일~27일)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은 2만474건이었으나, 발표 후(6월28일~7월15일) 5529건으로 급감했다.

같은 기간 수도권 아파트의 중위 거래는 6억6000만원에서 5억원으로, 중위 전용면적은 84㎡에서 75㎡로 각각 1억6000만원, 9㎡ 줄어들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거래 위축이 두드러졌다. 거래량은 대책 발표 전 7150건에서 1361건으로, 중위 거래가격은 10억9000만원에서 8억7000만원으로 약 2억2000만원 낮아졌다. 거래된 전용면적도 84㎡에서 78㎡로 감소했다.

자치구별로 보면 고가 단지가 밀집된 강남권에서는 대출 규제 영향이 직접적으로 반영되며 고가·대형 평형의 거래가 쪼그라들었다.

서울 강남구의 중위 거래가격은 대책 발표 전 29억원에서 발표 후 26억원으로 3억원 감소했다. 중위 거래면적도 85㎡에서 76㎡로 줄었다. 거래량은 301건에서 67건으로 급감했다.

서초구의 거래량도 134건에서 13건으로, 중위 거래가격은 23억7500만원에서 19억6500만원으로 줄었다. 송파구의 경우 거래량(339→118건)은 감소했지만 중위 거래가격은 16억2000만원으로 3000만원 감소에 그쳤다.

서초구와 송파구의 중위 거래면적은 85㎡로 대책 발표 전과 동일했다. 거래시장은 정체기를 보이고 있지만 일정 수준의 수요가 중형 평형을 중심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게 직방의 설명이다.

한강벨트인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도 중위 거래면적은 85㎡를 유지했지만 중위가격은 마포구(15억2750만원→12억2000만원), 용산구(18억500만원→15억4000만원), 성동구(15억8000만원→14억600만원) 모두 하락 흐름을 보였다.

6·27대책 이후 풍선효과가 예상됐던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도 거래량이 둔화되고 중위가격이 낮아지는 등 관망세를 보였다.

노원구는 거래된 면적이 59㎡로 유지된 반면, 중위가격(5억9500만원→5억1900만원)이 낮아졌다. 금천구도 거래면적이 60㎡로 동일했으나, 중위가격(5억8250만원→5억4500만원)이 조정됐다.

경기도의 경우 전체 중위 거래가격은 5억5000만원에서 4억4500만원 전용면적은 78㎡에서 75㎡로 줄었다. 반면 과천시는 거래량 자체는 극히 적었지만, '센트럴파크푸르지오써밋'(27억원), '과천푸르지오써밋'(20억8500만원) 등 고가 신축 단지의 단일 거래가 중위가격을 끌어올렸다.

인천은 대책 전 2003건이던 거래량은 804건으로 줄었고, 중위 거래가격도 3억7900만원에서 3억6000만원으로 소폭 하락했다.

직방은 "6.27 대책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은 단기간 내 거래량, 면적, 가격 모두 하향 조정되는 흐름 속에 빠르게 관망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며 "거래 가능한 아파트의 조건 자체가 바뀌며, 중소형·실현 가능한 가격대 중심의 거래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