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직방이 지난달 10일부터 이달 15일까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해 대책 발표 전후의 흐름을 비교한 결과, 대책 발표 전(6월10일~27일)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은 2만474건이었으나, 발표 후(6월28일~7월15일) 5529건으로 급감했다.
같은 기간 수도권 아파트의 중위 거래는 6억6000만원에서 5억원으로, 중위 전용면적은 84㎡에서 75㎡로 각각 1억6000만원, 9㎡ 줄어들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거래 위축이 두드러졌다. 거래량은 대책 발표 전 7150건에서 1361건으로, 중위 거래가격은 10억9000만원에서 8억7000만원으로 약 2억2000만원 낮아졌다. 거래된 전용면적도 84㎡에서 78㎡로 감소했다.
자치구별로 보면 고가 단지가 밀집된 강남권에서는 대출 규제 영향이 직접적으로 반영되며 고가·대형 평형의 거래가 쪼그라들었다.
서울 강남구의 중위 거래가격은 대책 발표 전 29억원에서 발표 후 26억원으로 3억원 감소했다. 중위 거래면적도 85㎡에서 76㎡로 줄었다. 거래량은 301건에서 67건으로 급감했다.
서초구의 거래량도 134건에서 13건으로, 중위 거래가격은 23억7500만원에서 19억6500만원으로 줄었다. 송파구의 경우 거래량(339→118건)은 감소했지만 중위 거래가격은 16억2000만원으로 3000만원 감소에 그쳤다.
서초구와 송파구의 중위 거래면적은 85㎡로 대책 발표 전과 동일했다. 거래시장은 정체기를 보이고 있지만 일정 수준의 수요가 중형 평형을 중심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게 직방의 설명이다.
한강벨트인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도 중위 거래면적은 85㎡를 유지했지만 중위가격은 마포구(15억2750만원→12억2000만원), 용산구(18억500만원→15억4000만원), 성동구(15억8000만원→14억600만원) 모두 하락 흐름을 보였다.
6·27대책 이후 풍선효과가 예상됐던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도 거래량이 둔화되고 중위가격이 낮아지는 등 관망세를 보였다.
노원구는 거래된 면적이 59㎡로 유지된 반면, 중위가격(5억9500만원→5억1900만원)이 낮아졌다. 금천구도 거래면적이 60㎡로 동일했으나, 중위가격(5억8250만원→5억4500만원)이 조정됐다.
경기도의 경우 전체 중위 거래가격은 5억5000만원에서 4억4500만원 전용면적은 78㎡에서 75㎡로 줄었다. 반면 과천시는 거래량 자체는 극히 적었지만, '센트럴파크푸르지오써밋'(27억원), '과천푸르지오써밋'(20억8500만원) 등 고가 신축 단지의 단일 거래가 중위가격을 끌어올렸다.
인천은 대책 전 2003건이던 거래량은 804건으로 줄었고, 중위 거래가격도 3억7900만원에서 3억6000만원으로 소폭 하락했다.
직방은 "6.27 대책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은 단기간 내 거래량, 면적, 가격 모두 하향 조정되는 흐름 속에 빠르게 관망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며 "거래 가능한 아파트의 조건 자체가 바뀌며, 중소형·실현 가능한 가격대 중심의 거래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