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2주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비용은 전국 최고가 4020만원, 최저가 120만원으로 이용 요금이 33.5배 차이가 났다.
일반실 이용 요금은 서울 강남의 A와 H산후조리원이 17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전북 군산의 M산후조리원이 120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특실 최고가는 강남 D산후조리원이 4020만원, 최저가는 전남 강진 공공산후조리원으로 154만원이다.
2021년 2주에 2600만원이었던 산후조리원 특실 최고가는 올해 4020만원으로 4년 새 1.55배 상승했다.
일반실 요금 상위 10곳 중 7곳이 서울 강남구에 집중돼 있으며 나머지는 서울 용산구, 강서구, 경기 성남시에 각각 1곳씩 분포했다. 상위 10개소의 평균 이용 요금은 1260만원으로 하위 10개소의 평균 이용 요금인 150만1000원 대비 약 8.4배(1110만원)에 달했다. 비용 최저가 10개소 중 6곳은 공공산후조리원으로 평균 이용 요금을 낮췄다.
지난 2월 복지부가 발표한 '2024년 산후조리 통계'에 따르면 산모들이 정부에 가장 많이 요구한 정책은 '산후조리 관련 비용 지원'(60.1%)으로 나타났다. 산후조리원을 선택할 때 '집이나 병원과의 거리'(59.1%)를 가장 중요하게 꼽았으며 이어 '가격 대비 시설이나 프로그램 수준'(32.5%), '가격이 저렴한 곳'(10.9%) 순이었다.
남 의원은 "산모 10명 중 8명이 산후조리원을 이용하지만, 전국 산후조리원 수는 2021년 하반기 519개소에서 지난해 하반기 460개소로 감소했고 일반실 평균 이용 요금은 232만원에서 355만원으로 100만원 넘게 상승했다"며 "시설 수는 줄고 비용은 오르면서 산모들이 경제적 여건에 따라 적절한 산후조리 시설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점점 제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올해 6월 기준 공공산후조리원의 일반실 평균 이용 금액은 약 174만원으로 민간 대비 절반 수준이지만 전국에 설치된 공공산후조리원은 21개소에 불과해 이용 접근성이 매우 낮다"며 "공공산후조리원 확대 설치를 통해 산모들이 더욱 합리적인 비용으로 만족도 높은 산후조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