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분권형 대통령제를 골자로 한 개헌과 이를 바탕으로 국가 대개혁, 정치 리모델링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정치적 사회적 대통합에도 방점을 찍었다.
김 지사는 5일 신년 기자 간담회에서 "위대한 대한민국을 재창조하고 대통합을 이루기 위해 대선 출마를 결심했다"고 밝힌 뒤 "(당내 경선에서) 특정 후보와의 연대나 경쟁 후보를 선을 넘어 공격하는 네거티브는 절대 하지 않고 끝까지 완주할 각오"라고 밝혔다.
또 "경선 과정에서 네거티브 없이 정책 대결로 '민주당의 파이'를 키우는 데 일조하고, 그것을 선도적으로 노력하겠다"며 "경선이 끝난 후에는 민주당의 힘이 하나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저 역시 힘을 더하겠다"고도 말했다.
김 지사는 "지방에서 18년, 중앙에서 10년, 국회 8년, 농림부 장관 8개월 하면서 국무위원 활동도 했기 때문에 모든 것은 다 준비돼 있다"며 "다만 그걸 정책으로 다듬어서 내놓는 것도 해야 되기 때문에 빠르게 작업을 해서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행정고시 출신인 김 지사는 전남도 행정부지사 역임한 후 18대, 19대 총선에서 승리, 재선 국회의원을 지낸 다음 2022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소속 광역단체장으로는 유일하게 연임에 성공하고 문재인 정부 시절 농림부장관도 지냈다.
그는 또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분야별로 잘한 것들을 통합해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대한민국 재창조, 대통합 정치를 펴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개헌론에도 힘을 실었다. 김 지사는 "정치적 양극화와 대립, 갈등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러 이젠 내란사태까지 이르렀다"며 "87년 체제'로는 더는 안 된다. 2028년 제23대 총선 전까지 3년내 헌법개정을 통해 제7공화국을 열고 대혁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37년이나 된 6공화국 헌법은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적나라하게 드러냈고, 시대적 변화와 요구를 담아내지 못한다는 개헌론자와 민주당 내 원로 정치인들의 주장과 맥을 같이 한다.
김 지사는 그러면서 대통령은 외교와 국방을 챙기고, 내치(內治)는 책임총리가 이끄는 분권형 대통령제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또 "책임총리제와 함께 상원을 만들어 지방의 의사가 국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독일이나 프랑스식 정치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의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미임명에 대해서는 "헌법기관 구성을 방해하는 행위인 만큼 원칙적으로는 탄핵감"이라고 전제한 뒤 "다만, 탄핵은 국정운영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판단해야 할 문제"라고 밝혔다.
한편 조기 대선은 헌법재판소가 2월 말이나 3월 중 대통령 탄핵을 인용할 경우 '대통령 궐위(파면 포함) 시 60일 안에 보궐선거를 치러야 한다'는 헌법 제68조 제2항에 따라 이르면 4월 말, 늦어도 5월 중 '벚꽃 대선'으로 치러질 가능성이 높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