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출마' 김영록 "후보 연대·네거티브 없이 완주하겠다"
검색 입력폼
탑뉴스

'대선 출마' 김영록 "후보 연대·네거티브 없이 완주하겠다"

신년 기자간담회서 "위대한 대한민국 재창조·대통합 해야"
"'87년 체제'로는 더는 안돼, 분권형 대통령제로 개헌해야"
재선 국회의원·재선 도지사, 장관까지 경험 "준비 다 됐다"

[나이스데이] 대선 출마를 공식화한 김영록 전남지사가 후보간 연대도, 네거티브도 없이 끝까지 완주하겠다는 의지를 공개적으로 밝혔다.

또 분권형 대통령제를 골자로 한 개헌과 이를 바탕으로 국가 대개혁, 정치 리모델링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정치적 사회적 대통합에도 방점을 찍었다.

김 지사는 5일 신년 기자 간담회에서 "위대한 대한민국을 재창조하고 대통합을 이루기 위해 대선 출마를 결심했다"고 밝힌 뒤 "(당내 경선에서) 특정 후보와의 연대나 경쟁 후보를 선을 넘어 공격하는 네거티브는 절대 하지 않고 끝까지 완주할 각오"라고 밝혔다.

또 "경선 과정에서 네거티브 없이 정책 대결로 '민주당의 파이'를 키우는 데 일조하고, 그것을 선도적으로 노력하겠다"며 "경선이 끝난 후에는 민주당의 힘이 하나로 모아질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저 역시 힘을 더하겠다"고도 말했다.

김 지사는 "지방에서 18년, 중앙에서 10년, 국회 8년, 농림부 장관 8개월 하면서 국무위원 활동도 했기 때문에 모든 것은 다 준비돼 있다"며 "다만 그걸 정책으로 다듬어서 내놓는 것도 해야 되기 때문에 빠르게 작업을 해서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행정고시 출신인 김 지사는 전남도 행정부지사 역임한 후 18대, 19대 총선에서 승리, 재선 국회의원을 지낸 다음 2022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소속 광역단체장으로는 유일하게 연임에 성공하고 문재인 정부 시절 농림부장관도 지냈다.

그는 또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분야별로 잘한 것들을 통합해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대한민국 재창조, 대통합 정치를 펴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개헌론에도 힘을 실었다. 김 지사는 "정치적 양극화와 대립, 갈등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러 이젠 내란사태까지 이르렀다"며 "87년 체제'로는 더는 안 된다. 2028년 제23대 총선 전까지 3년내 헌법개정을 통해 제7공화국을 열고 대혁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37년이나 된 6공화국 헌법은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적나라하게 드러냈고, 시대적 변화와 요구를 담아내지 못한다는 개헌론자와 민주당 내 원로 정치인들의 주장과 맥을 같이 한다.

김 지사는 그러면서 대통령은 외교와 국방을 챙기고, 내치(內治)는 책임총리가 이끄는 분권형 대통령제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또 "책임총리제와 함께 상원을 만들어 지방의 의사가 국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독일이나 프랑스식 정치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의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미임명에 대해서는 "헌법기관 구성을 방해하는 행위인 만큼 원칙적으로는 탄핵감"이라고 전제한 뒤 "다만, 탄핵은 국정운영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판단해야 할 문제"라고 밝혔다.

한편 조기 대선은 헌법재판소가 2월 말이나 3월 중 대통령 탄핵을 인용할 경우 '대통령 궐위(파면 포함) 시 60일 안에 보궐선거를 치러야 한다'는 헌법 제68조 제2항에 따라 이르면 4월 말, 늦어도 5월 중 '벚꽃 대선'으로 치러질 가능성이 높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