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대왕고래, 실패 단정할 때 아냐…계속 시추해야"
검색 입력폼
탑뉴스

여 "대왕고래, 실패 단정할 때 아냐…계속 시추해야"

권성동 "7개 유망 광구 중 하나, 실망할 필요 없어"
야당 비판에 "정쟁 도구로 삼는 태도 개탄스러워"
김상훈 "대왕고래, 문재인 정부 시절 계획 수립"

[나이스데이] 국민의힘은 7일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탐사시추 결과에 대해 "실패라 단정할 때가 아니다"며 "시추를 더 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이를 비판하는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정쟁의 도구로 삼는 태도가 개탄스럽다"고 했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사업인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탐사시추 결과를 두고 경제성이 없다는 발표에 대해 "시추를 더 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한 번 시추를 해 봤는데 바로 나오면 산유국이 안 되는 나라가 어디 있겠나"라고 덧붙였다.

권성동 원내대표도 오전 원내대책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대왕고래 시추를 계속해야 한다고 보냐'는 질문에 "동해안에 7개의 유망 광구가 존재하는 것으로 이미 밝혀졌다"며 그중 한 개 시추했는데 경제성 있는 광구가 아니라는 결론이 나왔다고 해서 실망할 필요 없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는 "나머지 부분도 지하자원이 없는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자원 개발한다는 차원에서 계속 시추해야한다는 것이 당과 정부 공식 입장"이라고 했다.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원내대책회의 모두발언에서 "대왕고래 심해 가스전 시추개발은 문재인 정부 때부터 계획을 수립하고 시추에 나서게 됐다"면서 "자원 빈국인 우리 입장에서는 자원개발 리스크를 감수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동해 심해 유전구는 총 7개구가 있는데 대왕고래는 그중 한군데다. 대왕고래 유전구에 대해 심층 분석을 실행해서 5월 중간보고, 7~8월께 최종 분석결과 나오면 6개 심해 유전구에 대해 본격 탐사에 나설 계획"이라고 했다.

이상휘 의원도 "동해 심해 석유가스전 개발 사업은 대한민국 에너지 안보와 미래산업을 위한 중요한 사업"이라며 "실패 성공을 말하기 전에 정치적 논란으로 사업이 좌초되면 우리 후손들은 그 피해를 고스란히 감당해야 한다. 즉각적 후속 시추작업과 추가 탐사가 필수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국민의힘은 1차 탐사시추 결과를 비판하는 더불어민주당에 자원 개발을 정쟁의 도구로 삼으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김대식 원내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1차 시추 결과가 경제성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더불어민주당은 기다렸다는 듯이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비난했다"며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잠재력을 축소하고, 에너지 자립을 향한 국가적 노력을 폄하하는 무책임한 태도"라고 말했다.

그는 "대왕고래의 잠재력을 부정하고 후속 시추 작업을 가로막는다면, 이는 정쟁의 도구로 국가적 자원을 낭비하는 행위"라며 민주당을 향해 "정치가 아닌 국익을 우선해달라"고 촉구했다.

신동욱 수석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대왕고래 1차 시추 탐사에 대한 아쉬운 결과가 더불어민주당에는 '잘 됐다'고 환호성 지를 일인가"라며 "대한민국의 자원개발이 어려움을 겪는 것이 민주당에겐 그렇게도 반가운 일인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가의 미래 에너지를 확보하려는 노력조차 정쟁의 도구로 삼는 태도가 참으로 개탄스럽다"고 했다.

그는 "과거 민주당이 이명박 정부의 자원개발을 무작정 매도하면서, 결국 주요 해외 자원 개발 사업을 접게 만들었고, 이후 희토류, 원자재 가격 폭등속에서 한국은 손발이 묶였다"며 "민주당은 이제라도 무책임한 정쟁을 중단하고, 대한민국의 에너지 주권 확보를 위한 노력에 협조하라"고 말했다.

박수민 원내대변인은 원내대책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자원개발 기본 원칙은 초당적이다. 정파적으로 하면 안 된다"며 "두 번째 일희일비하지 않고 미래세대를 위한 관점으로 장기적으로 추진한다. 이게 바로 자원 (개발에) 성공한 부국들 원칙"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도 우리 영해에서 지금 하는 자원개발이다. 우리 영해에 어떤 미래가치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일희일비 하지 않고 초당적으로 가야 한다"며 "즉 정파적 정치적 과도한 해석은 미래세대와 국익을 위해 좋지 않다"고 했다.

박 원내대변인은 '시추 관련 추경'에 대해서는 "어떤 게 가장 합리적인지 현장에서 일하는 석유공사 그리고 산자부가 상황 계획을 장기적으로 세워가야 한다"며 "추경 필요하다면 장기적으로 긴 호흡으로 지원하는 입장이다. 동해 유전이라는 건 역대 정부를 거쳐 진행된 일"이라고 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