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딥시크 무분별한 정보 수집 가능성…국회 접속 차단 요청"
검색 입력폼
탑뉴스

여 "딥시크 무분별한 정보 수집 가능성…국회 접속 차단 요청"

"대왕고래 프로젝트, 추경 필요하다면 지원"
"모수개혁, 여야 연금특위 구성해 논의해야"
"사전투표제, 표심 왜곡 문제…논의 필요성"

[나이스데이] 국민의힘은 7일 개인정보 보호 취약성이 우려되는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에 대한 국회의 접속 차단을 요청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원내대책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딥시크의 무분별한 정보 수집 가능성 때문에 정부에서 접속 차단을 시행하고 있다"며 "국회도 행정부와 입장을 같이 해서 접속차단을 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사업(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첫 탐사시추 결과 경제성 확보가 어렵다는 판단이 나온 것에는 "동해안에 7개 유망 광구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탐사 성공률은 5%도 안 된다"며 "지하자원이 없는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나머지 7개 부분도 자원 개발 측면에서 계속 시추해야 한다는 게 당정의 공식 입장"이라고 말했다.

박수민 원내대변인도 "우리 영해에 어떤 미래가치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일희일비하지 않고 초당적으로 가야 한다"며 "한국석유공사와 산업통상자원부가 계획을 세우고, 추경(추가경정예산)이 필요하다면 장기적으로 지원하자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연금 개혁 논의와 관련, 구조개혁과 모수개혁 중 모수개혁부터 하자는 야당의 주장에 대해 "가능하면 연금특위를 구성해서 논의해야 한다"며 "모수개혁은 빨리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 같다. 보험료율 13%에 대해서는 여야가 이견이 없고, 소득대체율의 경우 정부안 42% 민주당안 44%로 절충 협의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보건복지위원회 소위에서만 모수개혁을 논의하는 건 무리가 있을 수 있다"며 "기존 관례대로 연금특위에서 여야 동수 의원을 구성해서 활발히 논의하고 결론을 도출하는 게 좋다"고 덧붙였다.

권 원내대표는 사전 투표 폐지 주장을 두고는 "사전 투표와 본투표의 시간적 간격이 길어서 후보자의 사정변경이 있을 경우 표심이 왜곡되는 것 아니냐는 문제 제기가 계속 있었다"며 "정치개혁틀별위원회를 발족하면 교육감 선거를 별도로 치를 것인지, 러닝메이트제를 할 것인지 등을 포함해 논의할 계획"이라고 했다.

개헌 논의와 관련해서는 "이재명 대표는 지금도 개헌이 필요 없다는 입장"이라며 "대다수 언론과 국민, 원로 정치인들까지도 이제는 87년 체제를 손볼 때가 됐다, 개헌할 때가 됐다고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여론이 무르익으면 이 대표도 따라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년 연장 논의를 두고는 "2030 청년과 중·장년 세대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제도개선이 원샷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노사민정위원회의 개혁안을 보면서 당 차원에서 필요할 경우 특별위원회를 발족하겠다"고 설명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