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대한영상의학회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용역을 받아 수행한 '특수의료장비의 적정관리 및 의료방사선의 환자보호방안 마련'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공단 가명화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CT 설치 대수는 2019년 2058대에서 2023년 2340대로 14% 늘었다.
의료기관 종별로 상급종합병원 20%, 종합병원 21%, 의원은 18% 증가했다. 병원만 3%로 증가율이 낮은 편이었는데, 그래도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CT 대수가 많아 종별 CT 보유 비율은 병원이 33%로 가장 컸다.
성능별로 보면 비교적 성능이 떨어지는 단채널 장비는 60% 감소했다. 가동되고 있는 단채널 장비 수는 71대고 주로 병의원 위주로 남아 있었다. 상급종합병원에선 사용하고 있지 않았다.
병원에선 16~64채널 장비 비율이 높았고, 종합병원에선 64~256채널, 상급종합병원에선 256채널 이상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등 의료기관의 규모가 커질수록 높은 채널의 장비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이와 관련해 연구진은 "장비 업체를 상대로 한 설문조사 결과 단채널 장비와 256채널 이상의 고성능 장비를 비교했을 때 약 2배의 선량 차이를 보였다. 환자 안전을 위해 단채널 장비를 빠르게 퇴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CT검사 건수는 2019년 1121만6845건에서 2023년 1467만7526건으로 5년간 346만681건(3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 건수는 2021년도 OECD 기준 인구 1000명당 282건으로 미국(255건)보다 약 10% 많은 수치이며, 이는 세계 1위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전해졌다.
CT검사는 2023년 기준 종합병원 654만848건, 상급종합병원 535만6866건, 병원 187만3354건, 의원 90만7154건 순으로 많았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검사 건수가 늘었는데 특히 10~15세에서 47%로 크게 증가했고 80세 이상에서도 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CT촬영 환자의 주상병을 보면 유방암, 기관지 및 폐암, 두부 내상, 위암, 복부 및 골반 통증 순으로 이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 중 2회 이상 동일부위(복부, 흉부 등) 촬영 후 청구건수도 전반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
연구진이 여러번 중복 촬영을 받은 환자들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대퇴골이 골절됐으며 알츠하이머 증상이 있는 한 환자가 전신 CT 검사를 41회 받는 등 목적이 불분명한 CT를 과다하게 실시하고 총 171건의 급여를 청구하는 일이 있었다. 이 환자는 영상의학과 전문의 판독을 대부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담도계와 관절에 증상이 있고 어지럼증을 호소하던 다른 환자도 신체 거의 모든 부분에 대해 수차례씩 CT 검사를 받고 총 78건을 청구한 경우도 있었다.
이런 가운데 1인당 피폭 방사선량도 점차 늘고 있다.
지난해 질병청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피폭 방사선량은 2016년 1.96mSv에서 2023년 3.13mSv으로 60% 증가했다. 이 중 CT가 2.11mSv로 67%를 차지했다.
일본의 1인당 의료방사선량은 2.6mSv(2020년 기준), 미국은 2.3mSv(2016년 기준)으로 우리나라보다 낮다.
연구진은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1인당 의료 방사선량이 높지만 CT 검사의 검사별 선량은 다른 나라에 비해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며 "CT 검사 건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전체 환자에 대한 의료방사선 피폭량을 줄이는 데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