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M&A 위축에 3Q 누적 외투 18%↓…"4분기 개선 예상"
검색 입력폼
정부

美관세·M&A 위축에 3Q 누적 외투 18%↓…"4분기 개선 예상"

3분기 누적 외투신고액 206.5억弗 도착액 112.9억弗
제조업 신고·도착 모두 감소…서비스업 도착액 증가
美 관세 불확실성에 M&A 시장 위축 등 복합적 작용
정부, 외투 유치에 현금·입지지원 등 인센티브 제공

[나이스데이] 올해 3분기 누적 외국인직접투자액(FDI)이 전년 동기 대비 18.0% 감소한 206억5000만 달러로 나타났다.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한 통상정책 불확실성이 지속되는데다 인수합병(M&A) 시장 위축에 따른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산업통상부는 2025년 3분기 누적 외국인 직접투자는 신고금액 기준 전년동기대비 18.0% 줄어든 206억5000만 달러로 집계됐다고 15일 발표했다. 도착금액은 2.0% 감소한 112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공장·사업장을 신·증설해 직접 운영하기 위한 그린필드는 전년동기대비 6.1% 감소한 177억7000만 달러를 올렸다. 기업 지분 인수나 합병을 목적으로 한 M&A 투자는 28억8000만 달러로 54.0%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화공, 유통, 정보통신 업종을 중심으로 투자가 유입되며 전년대비 58.9% 증가한 49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지만 유럽연합(EU) 25억11000만 달러(-36.6%), 일본 36억2000만 달러(-22.8%), 중국 28억9000만 달러(-36.9%) 등은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1년 전보다 29.1% 줄어든 87억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기·전자(28억5000만 달러, -36.8%), 화공(24억3000만 달러, -13.8%) 등에서 감소했고 운송용 기계(8억8000만 달러, 27.2%), 기타제조(2억 달러, 93.4%) 등에서 증가했다.

서비스업은 전년동기대비 6.9% 줄어든 111억1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유통은 122.5% 증가한 20억8000만 달러, 정보통신은 25.7% 늘어난 17억9000만 달러로 증가세를 보였고 금융·보험은 전년대비 43.6% 감소한 41억3000만 달러로 나타났다.

특히 인공지능(AI) 관련 데이터센터,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 로보틱스 등 정보통신업은 전년동기대비 25.7% 증가한 17억9000만 달러로 AI 분야에 대한 신고 증가세가 지속됐다.

자금별로는 신규투자가 119억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대비 6.2% 감소한 수치다. 증액투자는 35.8% 줄어든 70억30000억 달러로 나타났다. 신규투자와 증액투자 비중은 각각 57.8%, 34.1%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89억6000만 달러, 비수도권 37억7000억 달러를 보였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신고금액은 지난해 보다 각각 29.4%, 17.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비중은 43.4%, 18.3%로 나타났다.

도착금액은 112억9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0% 줄었다. 지난해 3분기 누적 115억1000만 달러를 기록한 것과 비교할 때 기존에 투자 신고된 건들의 자금이 안정적으로 유입됐다고 볼 여지가 많다.

데이터 센터, 대형마트 등 서비스업 영위 사업장의 투자 유입 확대에 따라 그린필드가 전년 동기 대비 23.0% 증가한 82억1000만 달러를 달성했다. M&A 자금 도착은 1년 전 대비 36.5% 감소한 30억7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발 투자는 관세 영향이 적은 서비스업 중심으로 자금이 도착해 29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99.7% 늘어난 수치다. 중국도 35.5% 증가한 4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다만 EU(24억8000만 달러, -41.8%), 일본(4억5000만 달러, -60.5%)의 투자자금 도착은 하락했다.

도착금액도 제조업에선 감소하고 서비스업에선 증가세를 보였다. 제조업 투자는 전년대비 25.5% 감소한 29억7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화공(13억6000만 달러, 80.9%), 운송용기계(1억4000만 달러, 6.9%) 등 분야의 투자 유입이 증가하고, 전기·전자(7억9000만 달러, -37.7%), 기계장비·의료정밀(3억1000만 달러, -43.3%) 등에서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3% 늘어난 78억6000만 달러를 올렸다. 유통업(15억4000만 달러, 210.3%), 정보통신(10억8000만 달러, 24.1%)등 업종 중심으로 증가했다. AI 관련 데이터센터, 자율주행S/W, 로보틱스 등 정보통신업은 전년대비 24.1% 늘어난 10억8000만 달러로 AI 분야에 대한 도착이 지속됐다.

자금별로는 신규투자와 증액투자가 각각 31억 달러, 65억8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신규투자와 증액투자 모두 지난해보다 8.1%, 10.7% 감소했으며 장기차관은 16억 달러로 전년대비 108.3% 늘어났다.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도착액 희비가 엇갈렸다. 수도권은 전년대비 7.4% 줄어든 80억4000만 달러의 투자액이 도착했고 비수도권은 14.7% 늘어난 32억3000만 달러의 투자액이 도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는 미국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데다 M&A 시장 위축으로 인한 대형 M&A 감소, 지난해 3분기 역대 최대 실적 달성에 따른 역기저효과, 전년대비 상승한 환율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감소폭이 확대됐다고 봤다.

유법민 투자정책관은 "3분기 외투 실적 감소의 원인은 M&A 투자가 크다"라며 "올해 3분기까지는 큰 M&A가 거의 없었는데 4분기에는 M&A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해당 M&A가 성사되면 3분기보다는 나아질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미국 투자가 증가한 이유에 대해선 "미국은 다른 나라에서 제조 공장을 설립해서 수출하는 투자가 상대적으로 적어서 최근 통상환경 변화에 영향을 적게 받은 것으로 보여진다"며 "미국발 투자는 다른 국가들과는 달리 정상적으로 이뤄지면서 크게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향후 외국인투자 유치를 위해 현금·입지지원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활용해 국내외 잠재적 투자기업을 발굴·유치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AI,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등 그린필드 첨단산업을 타깃팅한 해외 투자설명회(IR) ▲국내 진출 외투기업을 대상으로 추가 투자 수요를 발굴하는 지역순회 IR 등 다양한 국내·외 투자유치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투자 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애로 해소를 위해 올해 FDI 이행지원단을 통해 프로젝트별로 밀착 지원한다. FDI 이행지원단은 외국인 투자가 신속하게 이행될 수 있도록 투자 프로젝트별로 투자 신고 이후 도착까지 전 과정을 밀착 관리하면서 이행상의 애로사항을 조기에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산업부는 FDI 이행지원단 운영을 통해 외국인 투자기업이 투자과정에서 겪는 애로사항을 적극 해소함으로써 국내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범정부 차원의 지원을 강화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외국인 투자 환경 개선과 투자 확대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FDI 이행지원단을 통해 관련 부처·기관 등과 협력해 외국인 투자기업들이 국내 투자과정에서 겪는 애로사항을 적극 발굴하고 해소하겠다"며 "외투기업들이 정부에 신고한 계획대로 투자를 원활히 이어나갈 수 있도록 긴밀히 소통하고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뉴시스